1분이면 똑똑해지는 성동격서! 실생활 전략으로 써먹기

성동격서, 한자부터 풀이해볼까요?

일상에서 한 번쯤 들어본 ‘성동격서’는 이름만큼이나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이 고사성어의 네 글자는 각각 소리 성(聲), 동녘 동(東), 칠 격(擊), 그리고 서녘 서(西)입니다.
직역해보면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을 공격하다’라는 뜻이죠. 얼핏 들으면 “소리를 왜 동쪽에서 내?” 싶지만, 이게 바로 기묘한 전략 전술의 핵심입니다!

성동격서의 탄생, 전쟁터에서 시작되다

중국 고대 전쟁의 한 장면을 살펴보면 성동격서의 진짜 의미가 드러납니다. 초나라와 한나라가 패권을 다투던 시기, 한나라 유방은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했습니다. 초나라 항우와 위나라의 협공을 받게 된 것이죠.
이때 한나라의 명장 한신은 모든 병사로 하여금 동쪽에서 소란을 피우게 했습니다. 적들은 “아! 저쪽이 공격의 대상이겠구나” 생각하며 동쪽에 병력을 집중했지만, 실제로는 서쪽을 기습해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이 이야기가 ‘성동격서’의 대표적 유래로 남아 있습니다.

전쟁
전쟁

속임수일까, 지혜일까? 성동격서의 의미

성동격서는 단순한 속임수에 그치지 않습니다. 전략적으로 남을 속이는 동시에, 주어진 상황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한 지혜의 표현입니다. 상대방에게 허를 찌르는 기계(奇計), 즉 기발한 계책을 뜻하기도 하죠.
실제로 동쪽에서 소란을 피우는 것은 단순한 혼란이 아니라, 적들이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결정적인 승부수를 띄우기 위한 연막 작전인 셈입니다.

교훈: 지혜롭게 상황을 읽어라

이처럼 성동격서는 “정면 승부만이 능사가 아니다”라는 교훈을 남깁니다. 때로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우회하는 것도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곧장 앞으로 돌진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시선을 한 방향으로 돌린 뒤 원래 의도한 곳을 노리는 방식—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겠죠.

실생활에서 써먹는 성동격서

성동격서는 전쟁터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훌륭한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 직장에서는 중요한 아이디어를 주제로 회의가 집중될 때, 다른 부서의 자원을 이용해 본질적 문제를 조용히 해결하는 방식
  • 협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조건을 직접 제시하기보다, 상대방이 덜 경계하는 쪽에서 대화를 시작해 결국 원래 목표를 달성하는 전략
  • 광고, 마케팅에서도 소비자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다른 쪽으로 유도한 후 본 제품을 어필하는 방식
현대 성동격서
현대 성동격서

실제로 많은 사업가, 정치가, 그리고 운동 선수들도 원칙적으로 정면 돌파와 우회 전략을 번갈아가며 사용합니다. 이 모든 것이 본질적으로 성동격서의 현대적 버전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성동격서와 현대, 그리고 ‘양동작전’

최근에는 각종 조직이나 기업에서 ‘양동작전’이라는 말을 씁니다. 본래의 목표는 숨긴 채 겉으로는 다른 ‘동쪽’에만 집중하는 듯 보여주는 것이죠. 상대가 예상하지 못한 순간에 결정적인 ‘서쪽’을 노리는 작전, 이는 협상, 경쟁, 사회적 상호작용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한자를 조금 더 들여다보자! 재미있는 이야기

한자의 조형도 흥미롭습니다. ‘서녘 서(西)’의 옛 그림자는 새의 둥지를 나타낸다 합니다. 즉, 서쪽은 태양이 지는 방향, 새들이 저녁에 둥지로 돌아가는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점, 생각하면 사자성어 안에도 자연에 대한 옛사람들의 감성이 녹아 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참고로 반대 글자인 동(東)은 ‘해가 뜨는 방향’이니까, 성동격서는 ‘해 뜨는 곳에서 소란을 피우고 해 지는 곳에서 일격을 가한다’는, 자연과 전략의 조화라고도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전략
전략

오늘의 실천 제안

정면으로 부딪히는 것이 어렵거나 불리하게 느껴질 때, 성동격서를 떠올려보세요. 세상은 항상 정공법만 요구하지 않습니다. 때로는 지름길이 아닌 우회로에서, 뜻밖의 돌파구를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부터 일상의 작은 문제에서도 성동격서의 지혜를 적용해보면 어떨까요? 전략적 사고와 유연함으로 원하는 목표에 조금 더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Leave a Comment